분류 전체보기

    교육청 태블릿 뚫는 방법 (갤럭시 탭 S7 FE)

    ⚠️이 글을 읽고 따라 하신 분들의 기기에 일어난 일에 관해서는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무작정 따라하지 마시고 이 글을 읽고 나서 부작용 등에 대해 충분히 인지한 뒤 진행하십시오. 서론 요즘 서울시교육청뿐만 아니라 여러 교육청에서 학생들을 위해 태블릿이나 크롬북 등을 나누어 준다고 한다. 나는 서울시교육청 소속 학교에 다니고 있어 이라는 명칭의 안드로이드 태블릿(갤럭시 탭 S7 FE)를 배부받았다. 유해 사이트 및 게임 차단 목적이라고는 하는데, 플레이 스토어 앱 설치와 게임 사이트 접속 등이 전부 차단되어 있다. 그런데 이 유해사이트 차단 프로그램이 엉뚱한 웹사이트를 차단해서 이용에 불편을 야기하거나, 플레이 스토어의 부재로 인해서 올바른 목적으로 태블릿을 이용하려고 해도 반쪽짜리 태블릿이 되어..

    X같은 트위터의 새 로고, 단축어 앱으로 원래 로고로 바꾸기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의 로고를 X로 바꿨다. iOS에는 어제 업데이트되어서 짜증이 나던 참에 단축어 앱으로 아이콘을 바꾸면 된다는 생각을 해서 바로 바꿔봤다. 바꾸는 방법은 트위터 로고 다운로드해놓기. 이 로고만 있으면 된다. 2. 단축어 앱 열기. 3. 추가 버튼을 눌러서 단축어 추가. 4. '동작 추가'에서 '앱 열기' 선택하고 'X' 앱 선택하기. 5. 홈 화면에 추가하기 6. 트위터 아이콘 선택하고 앱 이름 바꾸기 이렇게 추가해주면 예쁜 새가 배경화면에 나타나는 걸 볼 수 있다.

    북한 폰트 모음

    컴퓨터의 파일을 정리하다가 북한 폰트들을 발견했다. 아마 예전에 내가 북한의 OS인 붉은별을 설치해서 사용해 보다가 추출한 파일인 것 같았다. 그래서 파일을 공유해 본다. https://www.icloud.com/iclouddrive/056Lj1PkpvYw1dWeSNsNBDh3Q 링크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트루타입 폰트 형식이니 아무데서나 쓸 수 있다. 조선중앙통신에서 자주 보던 폰트들도 있다.

    App Clip 개발하기

    애플이 예전에 앱 클립이란 걸 발표했다. 지금은 아무도 안 쓰는 로스트 테크놀로지가 되었지만... 앱 클립은 기본적으로 카메라로 특정 코드를 찍으면 앱의 경량 버전이 다운로드 없이 바로 실행되어서 앱의 몇몇 제한된 기능을 써볼 수 있는 기능인데, 굳이 메리트가 없어서 많이 쓰이진 않고 있다. 나도 어느 날 문득 앱 클립을 만들고 싶어져서 내 앱의 앱 클립을 만들어 봤다. 일단 Xcode의 프로젝트 설정에서 밑의 "+" 버튼을 눌러서 앱 클립 앱을 추가해 준다. 이런 식으로 앱 클립을 추가하면 옆의 TARGETS에 앱 클립이 보일 것이다. 그리고 사이드바에서 앱 클립 폴더를 선택해서 대충 필요한 기능들만 있는 SwiftUI 파일을 만들어준다. 나는 CocoaPods가 사용이 되지 않아서 Xcode 내장 라..

    버려진 아이폰 4S

    아이폰 4S는 애플이 2011년 출시한 스마트폰이다. 스티브 잡스 사망 불과 1일 전 발표했는데 그때 당시 키노트를 보면 슬퍼하는 필 실러의 모습이 보인다. 스티브 잡스의 유작으로도 평가받는데, 외적인 부분은 4와 똑같고, 시리와 안테나게이트 관련 문제 해결 등 업데이트들을 했다. 서론은 이쯤 마무리하고, 가족이 쓰던 아이폰 4S가 장롱에서 발견됐다. 그래서 사진들만 백업해두고 초기화해서 가지고 놀려고 했다. 그런데 초기화하고 초기 설정을 하려는데, 활성화 잠금이 되어 있다는 거였다.이것도 가족의 애플 아이디인데 아무도 저 계정을 모른다. 그래서 여러 경로로 해제 방법을 물색해 봤지만 결국 아직 해결하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다. 별의 별 방법을 다 시도해 봤는데도 애플의 보안정책은 깐깐하다.

    4세대 나이스에 관해

    최근 교육부가 나이스를 개편했다. 뭔 4세대 나이스라는데 이거 때문에 선생님들의 부담만 가중된 느낌이다. 그리고 교육부 오픈 API 관련해서도 정책이 바뀌어서 이제는 영양사가 직접 승인을 해야 급식이 공개되도록 바뀌었다. 그런데 아직 일선 영양사들에게는 교육을 안했는지 아직 바뀌지 않은 학교가 태반이다. 그래서 내가 만든 앱 급식시간에도 급식이 전부 나오지 않는다. 그나마 제주도에 위치한 일부 학교는 나오긴 하는데, 그 학교들 빼고 전부가 나오지 않는다. 그래서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접속이 가능한 선생님용 서비스는 고쳤나?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2022년 6월에 지원이 종료됐지만 아직 나이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그대로 쓰고 있다. 어떻게 가능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우회 방법을 잘 찾았나 보다. 그런거 할..

    URL 단축기 개발하기

    이 글은 과거 URL 단축기를 만든 경험을 되살려서 쓰고 있는 점 양해 바란다. URL 단축기는 보통 백엔드 개발을 배우면 만들어 보는 것 중 하나이다. 난 예전부터 URL 단축기를 만들고 싶었지만 귀찮아서 보류 중이었는데, 몇 달 전 주말에 문득 URL 단축기를 만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갑자기 만들게 되었다. 단축할 URL과 단축된 URL을 저장하려면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해서 mongodb atlas를 사용했다. 최근 사용한게 불과 몇 달 전인데 과금 요소가 꽤 많아졌다. 확실히 요즘 무료로 무언가를 하기 어려워진 것 같다. 하지만 나는 라이트한 목적이다 보니 무료로 DB를 생성했고, 대충 nodejs로 개발하고 replit으로 배포했다. replit도 요즘 과금 정책이 빡빡해져서 24시간 서버를 돌..

    Aol 메일 사용기

    Aol은 과거 미국의 잘나가던 인터넷 포털 회사였다고 한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게 위세가 높지 않다. 야후를 운영하는 회사에 인수되어 일부 서비스는 야후와 통합되어 있고, 그나마 메일이 나름 쓸모있는 서비스이다. Aol 메일은 짧은 도메인 때문에 관심을 갖게 되어 몇 년 전부터 지금까지 쓰고 있다. "aol.com". "gmail.com"이나 "icloud.com"보다 훨씬 짧고 간결하다. 보통 웹사이트 따위를 만들 때 직접 "mailto:sungho.moon@aol.com"을 직접 치기에 도메인이 짧은 건 커다란 메리트이다. 또한 Aol 메일을 쓰는 한국 사용자가 적어 이메일 주소를 만들기 쉽다. "sungho.moon"을 Gmail이나 iCloud 메일에서는 다른 사람이 이미 가져가서 만들 수 없었는..